주택연금 관련 문의 중 가장 많이 들어오는 질문이 있습니다. '3월부터 월지급금이 오른다는데, 지금 가입해야 할까요, 기다려야 할까요?' 당장 노후 자금이 필요하신 분들은 한 달이라도 빨리 받고 싶으실 테고, 평생 받는 연금이다 보니 조금이라도 더 받을 수 있다면 기다리고 싶은 마음도 충분히 이해됩니다.
실제로 3월부터 주택연금 월지급금이 최대 1.58% 오르는 것으로 확정되면서, 많은 분들이 이 시기를 주목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실제로 본인의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 더 유리할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 3월 주택연금 월지급금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고, 개인의 상황에 따른 최적의 가입 시기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2025년 3월부터 주택연금 월지급금 최대 1.58% 인상
2025년 3월부터 신규로 주택연금을 가입하는 경우, 기존 가입자 대비 최대 1.58%까지 월지급금이 더 높아집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의 월지급금을 2025년 3월부터 조정한다고 합니다.
주택연금 월지급금 조정 기준은?
주택연금의 월지급금은 주요 변수 3가지를 반영하여 매년 1회 이상 재산정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주택금융공사법 제9조에 명시된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됩니다.
- 주택가격상승률: 주택가격 변동 예측을 반영
- 대출이자율: 미래 이자율 변동 예측을 반영
- 가입자의 사망확률: 가입자의 기대여명 변화를 반영
이러한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매년 월지급금 수준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재산정일 이후에 신규로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경우, 조정된 월지급금이 적용됩니다.
가입연령별 주택연금 월지급금 변화
2025년 3월 이후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경우, 가입연령에 따라 아래와 같이 월지급금이 인상됩니다.
연령 | 1억원 기준 | 3억원 기준 | ||
---|---|---|---|---|
현행 | 조정 | 현행 | 조정 | |
55세 | 145만원 | 147만원 (+1.57%) | 436만원 | 443만원 (+1.57%) |
60세 | 198만원 | 200만원 (+1.16%) | 594만원 | 600만원 (+1.16%) |
65세 | 240만원 | 242만원 (+0.99%) | 720만원 | 727만원 (+0.99%) |
70세 | 295만원 | 297만원 (+0.65%) | 886만원 | 892만원 (+0.65%) |
75세 | 370만원 | 371만원 (+0.23%) | 1,111만원 | 1,113만원 (+0.23%) |
80세 | 474만원 | 474만원 (+0.06%) | 1,424만원 | 1,424만원 (+0.06%) |
3월 이후 가입 시 연령대별로 최소 0.06%에서 최대 1.58%까지 월지급금이 오르게 됩니다. 젊은 연령대일수록 증가율이 높고, 고령일수록 증가율은 낮아집니다.
- 주택연금 가입자의 평균 연령은 70.4세
- 75세 이상 고령자의 비중이 34%로 가장 높음
- 주로 60대 후반에서 70대 초반에 가입하는 경향
특히 3월 이후 가입할 경우 최대 증가율을 보이는 연령대는 55세로, 주택가격 1억원 기준 월 147만원, 3억원 기준 443만원을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기존 대비 각각 1.57% 오른 수준입니다. 최근 연금 수급 연령 기준이 크게 바뀌고 있습니다. 주택연금과 함께 기초연금도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확인하세요.
현재 주택연금 월지급금은 어떻게 산정될까?
현재 주택연금 가입 시 수령할 수 있는 월지급금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 상세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2025년 2월 기준 월지급금 수준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연령 | 1억원 | 2억원 | 3억원 | 5억원 | 7억원 | 9억원 | 12억원 |
---|---|---|---|---|---|---|---|
55세 | 145만원 | 291만원 | 436만원 | 728만원 | 1,019만원 | 1,310만원 | 1,747만원 |
60세 | 198만원 | 396만원 | 594만원 | 989만원 | 1,385만원 | 1,781만원 | 2,375만원 |
65세 | 240만원 | 480만원 | 720만원 | 1,201만원 | 1,681만원 | 2,162만원 | 2,882만원 |
70세 | 295만원 | 591만원 | 886만원 | 1,478만원 | 2,069만원 | 2,660만원 | 3,278만원 |
75세 | 370만원 | 740만원 | 1,111만원 | 1,851만원 | 2,592만원 | 3,333만원 | 3,538만원 |
80세 | 474만원 | 949만원 | 1,424만원 | 2,373만원 | 3,322만원 | 3,797만원 | 3,939만원 |
주택가격과 연령이 주택연금 월지급금의 핵심 결정요소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월지급금은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입연령이 높을수록 많아지는 구조입니다.
또한 월지급금 산정에 적용되는 주택가격은 공사에서 인정하는 실제 시세를 기준으로 합니다.
- 아파트: 한국부동산원 시세 > KB국민은행 시세 순으로 적용
- 아파트 외 주택, 오피스텔: 감정기관의 감정평가를 통한 시세 적용
이렇게 산정된 월지급금은 계약 당시 확정되며, 종신토록 변동 없이 동일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가입 시점의 주택가격과 연령이 월지급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과 함께 퇴직연금도 노후 준비에 중요한데요. 퇴직연금 활용하는 방법도 알아보세요.
퇴직연금 수령할 때 꼭 확인하세요! 놓치기 쉬운 절세 방법
주택연금 월지급금, 최근 몇 년간 지속 하락 추세
주택연금 월지급금은 지난 몇 년간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습니다. 2022년만 해도 3억원 아파트를 담보로 70세에 가입할 경우 월 92만 6천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2023년 3월에는 90만 1천원으로 2만 5천원 줄었습니다.
2024년에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져 88만 6천원으로 다시 하락했습니다. 이는 주택가격 하락 전망, 기대여명 증가, 낮은 금리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2025년 3월, 하락세 멈추고 소폭 상승 전망
그러나 2025년 3월부터는 이러한 하락세가 멈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발표에 따르면 오히려 전년 대비 평균 0.42% 가량 월지급금이 오를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3월 이후 주택연금 신규가입자는 기존보다 조금 더 높은 연금을 평생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조정으로 3월에 3억원 주택 기준 70세 가입 시 기존 88만 6천원에서 89만 2천원으로 월 6천원 가량 오르게 되며, 이는 0.65%의 상승률입니다. 혹시 배우자와 함께 노후를 준비하고 계신가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유족연금에 대해서도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3월 주택연금 가입이 유리할까?
최근 들어 주택연금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노후 대비 차원에서 본인 소유의 주택을 담보로 매월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이번 월지급금 조정으로 관심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당장 3월에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연금 수령액만 본다면 3월 가입이 유리
이번 월지급금 상승 조정은 2025년 3월 이후 신규 가입자부터 적용됩니다. 따라서 연금 수령액 측면에서 본다면 2월에 가입하는 것보다는 3월 이후에 가입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조건이라면 3월에 가입할 경우 2월보다 매달 조금 더 많은 연금을 받게 되기 때문이죠. 70세 기준 주택가격 3억원일 때 월 6천원 가량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연금 수령액 측면에서의 이야기입니다.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서는 무조건 3월 가입이 좋다고 단정짓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당장 연금이 필요하다면 기다릴 필요는 없어요
만약 생활비 마련을 위해 당장 연금 수령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3월까지 기다릴 이유는 없습니다. 월 지급금의 소폭 상승분보다는 빨리 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볼까요? 2월에 주택연금에 가입해 10년을 수령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3월에 가입하는 것 보다 연금을 한 달 더 일찍 받기 시작했으니, 총 수령액이 한 달치 더 많아지게 되는 셈이죠. 즉, 3월 가입 시 연금이 월 6천원 오른다 해도 그보다는 2월에 가입해 한 달 더 받는 것이 이득입니다.
이처럼 당장 현금 흐름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3월까지 기다릴 필요는 없습니다. 연금 수령의 시급성을 고려해 개인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주택연금과 기초연금을 함께 받으실 계획이라면, 아래 글에서 기초연금 수급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해보세요.
2025년 기초연금, 내가 받을 수 있을까? 셀프 체크리스트
맺음말
3월부터 달라지는 주택연금 월지급금과 가입 시기별 장단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월지급금이 최대 1.58% 오르는 것은 분명 반가운 소식이지만, 무조건 3월을 기다리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장 생활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한 달의 추가 연금 수령이 소폭의 월지급금 인상보다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주택연금 가입은 개인의 재정 상황과 시급성을 고려한 현명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의 월지급금 계산기로 예상 수령액을 꼼꼼히 비교해보시고, 필요하다면 전문 상담사와 상담도 받아보세요. 평생 받게 될 주택연금인 만큼, 충분한 검토 후에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시기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